본문 바로가기

정보

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코드 조회 (공장등록)

300x250
반응형
728x170

 

공장등록시 필요한 업종코드 확인 방법입니다.

공장등록시 필요한 업종코드는 한국 표준산업분류표의 분류코드를 사용합니다.

 


 공장의 업종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장설립승인 대상이 되는 공장의 업종은 제조업에 한정됩니다(「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제1항).
 

 제조업이란? 
“제조업”이란 원재료에 물리,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제조업(대분류:C)의 분류를 따릅니다[「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 고시 제2017-13호, 2017. 1. 13. 발령·2017. 7. 1. 시행)].

 

 

공장등록시 필요한 업종코드는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한국 표준산업분류 분류코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통계청 홈페이지

 

표준산업분류 개요

 

한국 표준산업분류표 분류코드 상세 내용 입니다.

 

 분류코드 구조 

 5자리 숫자 중 앞에서부터

 대분류    (1자리, 영문대문자) 

 중분류    (2자리 숫자) 

 소분류    (3자리 숫자) 

 세분류    (4자리 숫자) 

 세세분류 (5자리 숫자)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표<--

분류코드 검색 방법
분류코드 중분류

 

 

한국 표준산업분류 분류코드 (업종코드) 

 

A.농업, 임업 및 어업(01~03)

B.광 업(05~08)

C.제 조 업(10~34)

D.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E.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F.건 설 업(41~42)

G.도매 및 소매업(45~47)

H.운수 및 창고업(49~52)

I.숙박 및 음식점업(55~56)

J.정보통신업(58~63)

K.금융 및 보험업(64~66)

L.부동산업(68)

M.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N.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O.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P.교육 서비스업(85)

Q.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R.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S.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T.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U.국제 및 외국기관(99)

 

업종별 대분류를 확인하시고 소분류 세분류 등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와 업종분류(국세청) 차이점

○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작성을 위해 만든 분류이며 국세청 업종분류는 조세행정을 위해 만든 분류입니다.

- 그러므로 국세청 사업자등록시 기입하는 업종분류 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가 아닌 국세청 업종분류 코드입니다.

- 참고로,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는 5자리, 국세청 업종분류코드는 6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국세청 업종분류코드 확인 방법 바로가기  <--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와, 국세청 업종 분류 차이점 바로가기<--


 
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코드입니다.

 

300x25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