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테마

NFT란? (대체불가능 토큰) 개념, 장단점, 거래 이슈, 거래소, 커뮤티니

300x250
반응형
728x170

Non-Fungible Token(NFT)
대체불가능 코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토큰. 한국어로는 대체 불가능 토큰이라고 부른다.

 

상세 내용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자산 등에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토큰을 꼬리표로 붙이는 것이다. 디지털 자산을 NFT 토큰으로 만드는 것을 민팅(Minting)한다고 표현하며 이는 원래 화폐를 주조한다는 뜻의 영단어이다.

기존의 파일들은 데이터로만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쉽게 무단복제가 가능했으며, DRM을 이용한 복제 방지 기술 또한 결국 이를 유통하는 중앙화된 관리서버가 존재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완전히 독립된 개인의 소유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누구의 통제도 받지 않으며 복제 불가능한 고유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희소성을 온전히 인정받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훨씬 안전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각종 예술품들을 위시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들이 NFT로 생산되고 거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중이다. 거래는 일반적으로 NFT 플랫폼에서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을 이용한 경매형식으로 이루어진다.

NFT로 꼬리표가 붙은 디지털 자산들은 작품의 소유자와 거래 이력이 블록체인 기술로 기록되며 기술의 특성상 누군가가 이를 함부로 변경하거나 할 수 없다. 동일한 디지털 파일을 NFT로 중복해서 만든다고 하더라도 기존의 NFT와는 다른 NFT를 꼬리표로 붙이는 것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먼저 NFT로 생성된 진품과 구별된다. 만약 NFT가 예술계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미래가 온다면 당연히 생성된 지 오래된 NFT의 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2021년 현재에는 투기나 다름없는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NFT의 현재 주로 사용되는 의미가 디지털 자산과 그를 증명하는 토큰이라는 것이지, NFT 자체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1개의 비트코인은 또 다른 1개의 비트코인과 서로 같은 가치로 대체가 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FT)지만, NFT는 하나 하나가 서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기 때문에 예술 작품에 활용되는 것일 뿐이다. 굳이 예술 작품 이외에도 각종 게임의 아이템에 NFT를 적용하거나 한정판의 유통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장점

생산의 자유로움
기존의 예술작품이 진품으로 인정받으려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었고 이후에도 진품 논란이 생기는 등 그 과정이 굉장히 복잡하였으나 NFT는 매우 간단하게 약간의 컴퓨터 작업만으로도 확실하고도 변하지 않는 진품 증명 토큰을 생산해낼 수 있다. 만약 실존하는 예술작품을 NFT로 만들고 싶다면 디지털 카메라로 찍든지 3D 스캔을 하든지 해서 디지털 파일을 생성한 후 NFT로 만들면 된다.

보관의 용이함
실존하는 예술 작품들을 보관하려면 온도, 습도, 채광량에 주기적인 관리까지 그 비용과 공간이 필요하지만 NFT는 결국 디지털 파일이기 때문에 흔히 사용하는 가정집의 저장장치에 보관해도 전혀 품질이 변하지 않는다. 일반 디지털 파일로만 구성된 작품이라면 무단 복제나 해킹 등 외부 공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지만 NFT는 이마저도 필요 없다.

자유로운 거래
고가의 예술 작품을 거래하려면 기존의 예술품 거래 전문 기업이나 협회의 서비스를 이용하며 그로 인한 수수료도 상당히 부담되는 수준이었지만 NFT는 진품 구분이 너무나도 명확하여 식별하기 쉽고 보관이나 이동, 전시 등의 과정 자체가 필요 없기 때문에 그런 부담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개인간에도 인터넷 전송을 통해 거리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더욱 거래하기가 쉽다.

희소성
디지털 파일임에도 불구하고 희소성이 생긴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다. 가령 사진의 경우, 인터넷에 한번이라도 올리면 다른 사람들이 구글이나 페이스북을 통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정적으로 물질적이지 않기에 현실에서 그린 작품에 비해 디지털 파일은 그냥 카피본을 여러개 만들 수 있어서 희소성이 매우 떨어지기에 특정 매체가 아니면 인쇄해서 작품으로 파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NFT는 디지털 파일조차 희소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서 이젠 단순히 디지털이라서 더 이상 희소성 문제에 시달릴 필요가 없어진다. 당연하지만 디지털 파일임에도 불구하고 희소성을 입증하는 데이터가 내장되기 때문이다.

단점

단순 꼬리표일 뿐
암호화폐 가치 논란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꼬리표만 붙인 디지털 파일일 뿐인데 꼬리표만으로 가치가 어마어마하게 상승하는 것에 회의적인 시선이 존재한다. 본체인 이미지나 영상 파일은 단순한 파일에 불과해서 복붙하면 진품이 하나 더 만들어지는 꼴이라 본래의 파일과 다른 의미가 없다. 거기다 실제로는 디지털 예술작품이 아니라 단순 꼬리표인 암호화폐 하나에 수 억원에 달하는 가격이 매겨진다는 것은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 크다. 다만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이런 NFT의 가치가 미래에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상반된 의견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언젠가는 뚫릴 기술
암호화폐도 비슷한 불안요소가 있으나 양자컴퓨터가 개발되고 NFT를 통한 진품의 인증이 무력화된다면 기존의 NFT는 가치를 잃을 수도 있다. 다만 현대 기준으로는 아직 먼 미래이고 그런 컴퓨팅 자원을 가지고 겨우 NFT를 해킹해낸다는 것 자체가 거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있다 수준으로만 여겨진다.

높은 입문 난도
말그대로 유명한 사람들은 더 유명해진다 할 수 있을 정도로 입문 난도가 높다. NFT는 결국 유명한 사람들이 올리는 작품들을 큰 돈을 주고 구입하는 거지 일반인이나 그닥 유명하지 않은 작가들이 올렸다간 오히려 수익은커녕 빠져나가는 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상에서 유명한 사람들이 주로 이익을 얻기 때문에 부자들만 더 부자된다고 비아냥거리고 있다.

너무 많은 NFT의 난립
누구나 NFT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돈이 된다 싶으면 어마어마한 수의 NFT가 쏟아져 나올 것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며, 이로 인해 NFT의 희소성이 옅어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결국 누군가가 사줘야 가치가 생기는 NFT의 특성상 결국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NFT만 최종적으로는 고가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도용에 속수무책인 플랫폼
실제 원 제작자가 아닌 사람이 허가를 받지 않고 타인의 작품으로 NFT를 만들어 내는 것을 방지할 방법이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플랫폼들에 올라온 NFT중에는 이전에 인터넷에 올라와 있던 작품을 도용한 사례가 꽤 많다. 이런 도용을 전문으로 하는 악질들도 존재할 정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고 기능을 적용한 플랫폼도 많으나, 현재로선 도용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방법이 턱없이 부족하다. 쉽게 얘기하면, 남의 물건을 훔쳐서(장물) 포장해 팔아 먹어도 다른 사람은 그 포장을 풀 수 없기 때문에(=NFT암호가 없기 때문에) 구매자가 신고하지 않는다면 장물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방법이 없다. 같은 이유로, 위조한 것이라도 그것이 진짜인지 알 수가 없다.

희소성의 의미가 없다.
현실의 예술작품과 NFT 파일 모두 저작권과 소유권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독점적인 복제 권한이며, 소유권은 각각의 카피에 대한 소유 권한이다.
현실의 예술작품은 원 저작자조차도 완전히 정확한 복제를 만들어 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본이 희소한 가치를 가진다. 이 희소성으로 인해 작품의 저작권의 가치보다 소유권의 가치가 더 높다. 그러나 디지털 예술작품은 원본을 정확하게 똑같이, (이론상) 무한히 복제할 수 있다. 모나리자를 복제할 수 있는데 그 복제품이 어떤 측정법으로도 원본과 구별이 안되는 정확히 똑같은 진품이라면 모나리자를 무한히 복제하면 세계의 모든 박물관에 한 점씩 걸 수 있고, 모나리자가 마음에 드는 개인도 누구나 자기 집에 한 점씩 걸어 둘 수 있게 된다. 자연스럽게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있던 모나리자의 희소가치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예술작품의 특징은 원본 자체는 희소성이 낮고 원본이든 복제본이든 그 가치가 거의 동일하다. 이로 인해 디지털 예술작품은 소유권의 가치는 낮고, 독점적인 복제 권한을 부여하는 저작권의 가치가 더 높다.
NFT로 생성된 원본증명서는 말 그대로 원본증명일 뿐, 저작권과 별개이다. 이 말은 NFT를 산 사람은 원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은 증명할 수 있어도, 해당 작품에 대한 독점적 복제 권한 주장은 불가능하다. 여기서 복제 권한이라 함은 단순히 Ctrl+C, V로 복제하는 것 이외에도 스트리밍 방식으로 유튜브에 올리거나, 다운로드를 제공하거나 하는 등의 모든 복제 행위를 전부 포함한다. 원본과 복제본의 가치가 거의 동일한데, 복제에 대한 독점적 권한이 없이 원본만 가지고 있어봐야 그 원본은 희소성이 없는 것이다.
NFT 거래 이후에는 저작권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식의 법적, 제도적 보완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현실의 미술품 거래와 같은 의미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표적 예시인 Nyan Cat만 하더라도 NFT가 실제로 거래되었지만 독점적 사용권은 얻지 못하였다. Nyan Cat 원작자인 PRguitarman가 Nyan Cat NFT를 A에게 팔고, 저작권을 B라는 사람에게 판매한다고 하자. 저작권을 구매한 B가 독점적 사용을 요구하며 자신의 유튜브에 올린다면 Nyan Cat NFT 소유자는 원본을 가지고 있음에도 자신이 가진 원본의 사적 이용 이외에는 Nyan Cat에 대해 어떠한 저작권도 주장할 수 없다.

환경 문제
여러 블록체인 기술들처럼 전기를 과하게 잡아먹는데, 그 중에서도 꽤 심각한 측면에 속한다. 현재 대부분의 NFT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여기에서 쓰이는 작업 증명 방식의 과정에서 막대한 전력이 사용된다. 이더리움 거래의 평균 전력 소모량이 48.14킬로와트라는 것을 생각하면 하루에도 수천 개씩 올라오는 NFT는 탄소 발자국의 우려를 불러 일으킨다.
이 때문에 서양 일러스트 커뮤니티에서는 코인충의 끝판왕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낙인이 찍혀버렸다. 지금 이더리움은 PoS 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고, 일부 NFT플랫폼은 비판을 받아들여 에너지를 덜 사용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등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은 있지만, 현재로서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기술로 인식되어 커뮤니티들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상태.

NFT 확산 (2021~)

NFT가 확산되며 붐을 일으킨 단계. 2021년 초부터 NFT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NFT를 디지털 아트에 대한 copyright의 징표로 사용하는 시도가 늘어나게 되고, 이것이 가능함이 증명이 되었다. 기성 예술가들이 NFT를 통해서 미술, 음악등의 디지털 아트 작품 활동을 하고 실제로 NFT를 높은 가격에 판매한는 케이스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2021년 2월에는 문서 상단의 Nyan Cat도 약 600,000 달러에 거래가 되었으며, 2021년 3월 미국 사진작가 Beeple은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라는 작품을 NFT로 제작한뒤 크리스티 경매를 통해서 693백만 달러에 팔았다.

NFT 붐이 일게 되면서 NFT 시초격인 크립토펑크 또한 다시 주목을 받게 되는데, 미국의 유명인들이 크립토펑크를 트위터 프로필 사진으로 하면서 NFT를 프로필 사진으로 하는 것이 유행을 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때까지 NFT는 현실세계와 접점이 없었거나 단순히 소유권의 징표만으로만 사용되었는데 NFT를 Profile사진으로 사용을 하게 되면서 현실세계에서의 효용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비싼 NFT를 프로필로 하려는 사람들의 과시욕구와 온라인 공간에서는 딱히 과시할 수 있는 징표가 없다는 점이 만나서 프로필용 NFT가격이 한번 더 뛰게 된다. 즉, 오프라인 공간에서 롤렉스를 차는 이유와 같이 온라인 공간에서 SNS에 비싼 NFT를 프로필 사진으로 할 수요가 상당하다는 것이다. 이에 프로필용 NFT를 PFP NFT라고 따로 부르며 NFT의 세부 구별이 생기게 되었다. 여기에 한술 더떠서 트위터는 공식적으로 계정주인이 실제로 프로필사진 NFT의 소유자인지 인증해서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곧 제공할 것이라고 하였다.

2021년 NFT가 큰 붐을 일으키게 된 것에는 코로나의 영향을 빼 놓을 수 없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서 사람들간의 물리적 접촉이 없어지면서 메타버스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게 되었고, 메타버스 시대로 좀더 일찍 접어들게 되었다. 메타버스는 NFT없이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메타버스에서 본인을 나타내기 위한 유니크한 아바타나 기타 다른 아이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FT와 접목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이기 때문에 NFT가 더 주목 받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PFP NFT가 더 비싼 가격에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현상을 이해해볼 수 있다.

NFT 거래 이슈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에서 자신이 대충 부른 노래 한 소절을 녹음해서 합성한 영상을 NFT로 만들어서 경매 형식으로 판매하려고 했으나, 경매가 과열되어 예상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 형성되기 시작하자 논란을 염려하여 경매를 취소하였다.

일론 머스크의 연인인 가수 그라임스가 NFT를 사용해 제작한 예술 작품이 높은 가격에 팔려 상당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미국의 회사 NBA 톱샷은 NBA 경기 장면이나 농구선수 카드 등을 NFT로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전체 NFT 시장의 약 67%의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Pog Punks와 Lazy Lion같이 성의없거나 불쾌한 그림이 양산되어 높은 값에 팔리고, NFT 홍보용의 SNS 계정 해킹 등으로, 비교적 최근 막 알려진 국내와는 달리 해외에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많다.
픽크루로 공짜로 만들수 있는 그림들을 우클릭으로 간단히 뺏을 수 있는 그림을 왜 무모한 가격에 사냐고 조롱하는 밈도 많다.
게다가 NFT오너들이 우클릭 저장질에 매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비웃음을 사는 것도 한몫하는 중.

간송미술관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디지털화 하여 NFT로 판매하였다.

특정 사용자만을 위한 자산 운용 서비스를 만들고 그 회원권을 NFT로 발행한 사례로는 블루웨일 프로토콜이 있다.

NFT를 발표한 게임제작사의 주가가 상승했다.
NFT를 이용한 Play to Earn 게임이 흥행에 성공할 경우, 국내 게임업계가 도박장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이에 대해 게임위 김규철 위원장은, 'NFT 게임 법적으로 불가' 라고 입장을 밝혔다.

2021년 11월 HYBE에서 앨범에 포함되던 포토 카드를 NFT를 이용해 디지털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비쳐 논란이 되고 있다. 포토 카드를 게임 아이템처럼 만들어 상기한 교환, 나눔, 전시 등의 친교, 친목의 목적도 있는 선한 문화를 부정하고 팬들 돈 빼먹는 장치로 만들겠다는 속셈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
향후 구매에 제약을 걸어 카드의 가치를 암호 화폐처럼 올리려는 것, 즉 아티스트를 그저 돈벌이 수단으로만 본다는 의견도 있다.

트위터에서 자신이 소유한 NFT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적용할 경우 인증마크를 달아주는 시스템을 만든다는 내용이 트위터의 개발자 마다 아플락의 트윗을 통해 짧은 영상으로 공개되었다.

거래소, NFT커뮤니티

세계 최대 NFT 거래 플랫폼
https://opensea.io/

 

 

https://www.binance.com/en

 

https://rarible.com/

 


메타버스코리아
https://metaverse-korea.net/

 

 


디씨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nft



 

NFT 대체불가능토큰  관련주 26종목 정리, 관련 이유, 전망

NFT 대체불가능토큰 관련주입니다. ✔ NFT,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 토큰 ✔ 게임·예술품 중심 시장 확대..'21년 9월 43억 달러 규모 ✔ 향후 메타버스 등 새 트렌드와 결합하여 지속 성장 기대 NF

lifeishanbang.tistory.com






출처-다음증권

300x25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